JPA (Java Persistance API)
Java 어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객체-관계 매핑 기술
- JPA는 기존의 반복 코드는 물론이고, 기본적인 SQL도 JPA가 직접 만들어서 실행해준다.
- 객체 중심의 설계로 전환해줄 수 있다.
-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.
- 전 세계적으로도 많이 사용한다.
JPA는 인터페이스이다.
우리는 JPA의 Hibernate만 거의 사용한다.
JPA는 ORM => Object, Relational, Mapping
즉, 클래스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, 필드와 컬럼을 매핑(연결)한다는 의미이다.
-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어, 개발자는 객체 모델을 이용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구성하는데만 집중할 수 있다.
(내부적으로는 쿼리를 생성하여 DB를 조작함. 하지만 개발자가 이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됨.)
2023.10.03 추가정리
JPA의 핵심적인 특징과 개념
1. 엔티티(Entity)
- JPA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되는 클래스(DTO)를 엔티티라고 한다. 엔티티는 @Entit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표시하며,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할 때 사용된다.
2. 엔티티 매니저(Entity Manager)
- 엔티티 매니저는 JPA의 핵심 인터페이스로, 데이터베이스와의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엔티티를 저장, 수정, 삭제, 조회하는 작업을 수행한다.
-엔티티 매니저를 활용한 Repository 구현
package hello.hellospring.repository;
import hello.hellospring.domain.Member;
import javax.persistence.EntityManager;
import java.util.List;
import java.util.Optional;
public class Jpa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{
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; //: 내부적으로 db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CRUD 작업을 수행한다.
public JpaMemberRepository(EntityManager em) {
this.em = em;
}
@Override
public Member save(Member member) {
em.persist(member);
return member;
}
public Optional<Member> findById(Long id) {
Member member = em.find(Member.class, id);
return Optional.ofNullable(member);
}
public List<Member> findAll() {
/*
* JPQL : 객체(Entity)를 대상으로 쿼리문을 작성. => 자동으로 sql문으로 번역되어 db로 보낸다.
* */
return em.createQuery("select m from Member m", Member.class)
.getResultList();
}
public Optional<Member> findByName(String name) {
List<Member> result = em.createQuery("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.name = :name", Member.class)
.setParameter("name", name)
.getResultList();
return result.stream().findAny();
}
}
* JPQL (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): JPQL은 객체 지향 쿼리 언어로,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. SQL과 유사하지만 테이블이 아닌 엔티티에 대해 작업한다.
3. JPA 설정
- JPA를 사용하려면 persistence.xml 파일을 통해 JPA 설정을 정의해야 한다.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, 엔티티 클래스 위치, 트랜잭션 관리 등을 설정할 수 있다.
@Transactional
Spring 프레임워크에서 트랜잭션 관리를 지원하는 어노테이션으로, 메서드나 클래스에 적용하여 해당 메서드의 실행을 단일 트랜잭션으로 처리한다.
=> JPA를 쓰려면 항상 트랜잭션이 존재해야 한다. 따라서 Service클래스에서 @Transactional이 있어야 각 메서드들을 단일 트랜잭션으로 관리할 수 있다.
- MemberService 클래스
package hello.hellospring.service;
import hello.hellospring.domain.Member;
import hello.hellospring.repository.MemberRepository;
import hello.hellospring.repository.MemoryMemberRepository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annotation.Autowired;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Servic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transaction.annotation.Transactional;
import java.util.List;
import java.util.Optional;
@Transactional //메서드들을 단일 트랜잭션으로 관리 가능.
public class MemberService {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public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) {
this.memberRepository = memberRepository;
}
//회원가입
public Long join (Member member){
validateDuplicateMember(member); //중복회원 검증
memberRepository.save(member);
return member.getId(); //회원의 id를 반환
}
//같은 이름이 있는 중복 회원은 X
//ifPresent: null이 아닌 어떤 값이 있으면 {}안의 명령이 수행됨. (Optional만 가능)
private void validateDuplicateMember(Member member) {
memberRepository.findByName(member.getName()).ifPresent(m ->{
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("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.");
});
}
//전체 회원 조회
public List<Member> findMembers(){
return memberRepository.findAll();
}
//회원 조회
public Optional<Member> findOne(Long memberId){
return memberRepository.findById(memberId);
}
}
스프링 데이터 JPA
JPA를 편리하게 사용하게끔 도와주는 기술이다.
스프링 데이터 JPA는 기본적인 공통 CRUD 기능들을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.
repository 개발 시 인터페이스만 작성하면 실행 시점에 스프링 데이터 JPA가 구현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해서 주입해준다.
- findAll, findOne, count, delete, ... 이런 메서드들을 가지고 있다.
- 페이징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해준다.
*JpaRepository를 상속 받으면 사용할 수 있는 주요 메서드
메서드 | 설명 | 내부 호출 메서드 (em은 Entity Manager를 의미) |
save(S) | 새로운 엔티티는 저장, 이미 있는 엔티티는 수정 | 식별자 값이 있으면, em.persist() 없으면, em.merge() |
delete(T) | 엔티티 하나를 삭제 | em.remove() |
findOne(ID) | 엔티티 하나를 조회 | em.find() |
getOne(ID) | 엔티티를 프록시로 조회 | em.getReference() |
findAll(..) | 모든 엔티티를 조회 (정렬 또는 페이지네이션 조건 가능) |
스프링 데이터 JPA 회원 리포지토리
-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
package hello.hellospring.repository;
import hello.hellospring.domain.Memb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data.jpa.repository.JpaRepository;
import java.util.Optional;
//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을 때는 extends
/*스프링JPA가 JpaRepository를 상속하는 것을 알고 있으면,
스프링JPA가 해당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만들어서 자동으로 스프링 빈에 등록해준다. */
public interface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<Member, Long>, MemberRepository {
/*스프링 데이터 JPA 규칙으로 메서드명에 'findBy000'으로 이름 붙이면
자동으로 메서드 명에 맞는 JPQL을 만들어준다. */
//JPQL => 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.name = ?
@Override
Optional<Member> findByName(String name);
}
스프링 데이터 JPA 회원 리포지토리를 사용하도록 스프링 설정 변경
- SpringConfig
package hello.hellospring;
import hello.hellospring.repository.*;
import hello.hellospring.service.MemberServic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annotation.Autowired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Bea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Configuration;
@Configuration
public class SpringConfig {
//스프링데이터 JPA가 만든 구현체가 빈으로 등록된다.
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;
@Autowired
public SpringConfig(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) {
this.memberRepository = memberRepository;
}
@Bean
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() {
return new MemberService(memberRepository);
}
}
- 스프링 데이터 JPA가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 를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해준다. =>프록시 기술을 통해서
참고자료:
https://data-make.tistory.com/621
[Spring + JPA] Spring Data JPA 란? (1)
| 소개-- spring framework에서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- CRUD 처리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제공 - repository 개발 시 인터페이스만 작성하면 실행 시점에 스프링 데이터 JPA
data-make.tistory.com
[Spring JPA] JPA 란?
이번 글에서는 JPA(Java Persistence API)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한다. JPA는 자바 진영에서 ORM(Object-Relational Mapping) 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. 그 말은 즉, 실제적으로 구현된것이
dbjh.tistory.com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VC 패턴 (0) | 2023.10.15 |
---|---|
HTTP 요청 및 응답 (0) | 2023.10.10 |
웹 애플리케이션 이해 (0) | 2023.10.06 |
AOP (Aspect Oriented Programming) (0) | 2023.10.03 |
Spring 프로젝트 생성 및 환경설정 (0) | 2023.09.12 |